2021 12

자기 만족적 공부에서 벗어나기

문제 앉아 있는 것은 공부가 아닌 것을 머리로는 아는데, 마음으로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주간 평균 50-60시간을 책상에 앉아 있기만 해서는 합격할 수 없음이 확실한데, 자꾸만 '앉아 있었다'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제로 인해 얻게 된 상황 거짓된 성취감을 실제적 실력 상승으로 착각한다. 자기 도취적 공부를 하여, 결과적으로 효율이 없는 공부를 하고 있다. 합격에서 멀어지는 것 같아 우울감이 든다. 해결 방안 주간 목표를 세우고, 일간 목표를 세분화하여 기록한다. (주간 목표와 일간 목표는 블로그와 인스타에 올리고 도달사항을 체크한다.) 목표는 나의 수준에 맞도록, 과도한 목표를 세워 스스로를 자괴감에 빠지지 않게 하자. 차라리 조금은 부족한 목표를 완벽하게 달성하는 것으로, 점차 목표를 늘려..

2021/성찰 2021.03.18

국어 임용 점수 상승 이유 성찰해보기

2020학년에 전공 점수 35점이라는 초유의 점수를 맞고 2021학년도에는 50점대로 턱걸이로 컷합을 했다. 그리고 최탈.. 했지만.. 애상적인 컷합이다. 2020학년과 달랐던 나의 2021학년도 준비를 성찰해보고, 2022학년을 준비하는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1. 합격 수기 모으기 - 특히 김이노님의 합격수기를 보면서 초수 합격생의 꼼꼼한 학습 과정을 살필 수 있었다. 그 동안 나의 공부가 방향성을 상실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지표가 되었으며, 공부 방법을 처음부터 점검했다. 2. 기출 문제 분석과 기출 문제 작성 연습 [1순위] - 시험을 오래 보았지만, 기출문제를 꼼꼼하게 분석했던 적은 없었다. 답만 확인하고 근거를 찾는 정도에 매몰되었었는데, 기출문제를 스터디를 통해 협의 과정으로 분석하고, 다..

2021/성찰 2021.03.05